[DB증권 반도체 서승연, 전기전자 조현지]
금주 및 차주 글로벌 주요 Tech 기업 2Q25 실적발표 일정 안내드립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7(월)
LG전자 잠정실적
7/8(화)
삼성전자 잠정실적
7/10(목)
16:00 Nanya
*컨콜 및 한국 시간 기준
금주 및 차주 글로벌 주요 Tech 기업 2Q25 실적발표 일정 안내드립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7(월)
LG전자 잠정실적
7/8(화)
삼성전자 잠정실적
7/10(목)
16:00 Nanya
*컨콜 및 한국 시간 기준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Apple 신형 MacBook 및 스마트 글래스 관련 궈밍치 코멘트]
1. 저가형 MacBook:
- 4Q25 말 ~ 1Q26 초 양산 시작 예정. A18 Pro 프로세서, 약 13인치 디스플레이, 색상은 실버, 블루, 핑크, 옐로우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음
- Apple은 2026년 MacBook 총 출하량을 팬데믹 시기 최고치인 약 2,500만 대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vs. 2025년 예상 약 2,000만 대)
- 저가형 MacBook의 2026년 출하량은 약 500~700만 대로 예상
2. 2027년 스마트 글래스:
- 디스플레이 기능은 없으며, 핵심 기능은 이어폰, 카메라, 촬영, 녹음, AI 기반 환경 감지 포함
- 프레임, 안경 다리는 다양한 소재로 선택 가능하며 현재 3D 프린팅을 활용해 안경 프레임과 다리를 제작하는 것을 적극 테스트 중
- 2027년 출하량은 약 300~500만 대 또는 그 이상으로 예상됨
3. 長盈精密(300115.SZ)은 저가형 MacBook 및 Apple 2027 스마트 글래스의 핵심 수혜:
- 장잉정밀은 저가형 MacBook과 2027년 스마트 글래스 프레임과 다리의 초기 설계/공급 협력사
- 현재는 MacBook Pro 기기의 케이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2026년부터는 MacBook Air 케이스도 공급 예정으로 신규 주문 증가 전망
- 2026년 신제품 및 신규 주문의 수혜로 인해, 장잉정밀의 2026년 매출과 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15~20% 및 30~40% 성장할 것으로 예상
[해당 내용은 단순요약으로 당사의 조사분석자료가 아닙니다]
[Apple 신형 MacBook 및 스마트 글래스 관련 궈밍치 코멘트]
1. 저가형 MacBook:
- 4Q25 말 ~ 1Q26 초 양산 시작 예정. A18 Pro 프로세서, 약 13인치 디스플레이, 색상은 실버, 블루, 핑크, 옐로우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음
- Apple은 2026년 MacBook 총 출하량을 팬데믹 시기 최고치인 약 2,500만 대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vs. 2025년 예상 약 2,000만 대)
- 저가형 MacBook의 2026년 출하량은 약 500~700만 대로 예상
2. 2027년 스마트 글래스:
- 디스플레이 기능은 없으며, 핵심 기능은 이어폰, 카메라, 촬영, 녹음, AI 기반 환경 감지 포함
- 프레임, 안경 다리는 다양한 소재로 선택 가능하며 현재 3D 프린팅을 활용해 안경 프레임과 다리를 제작하는 것을 적극 테스트 중
- 2027년 출하량은 약 300~500만 대 또는 그 이상으로 예상됨
3. 長盈精密(300115.SZ)은 저가형 MacBook 및 Apple 2027 스마트 글래스의 핵심 수혜:
- 장잉정밀은 저가형 MacBook과 2027년 스마트 글래스 프레임과 다리의 초기 설계/공급 협력사
- 현재는 MacBook Pro 기기의 케이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2026년부터는 MacBook Air 케이스도 공급 예정으로 신규 주문 증가 전망
- 2026년 신제품 및 신규 주문의 수혜로 인해, 장잉정밀의 2026년 매출과 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15~20% 및 30~40% 성장할 것으로 예상
[해당 내용은 단순요약으로 당사의 조사분석자료가 아닙니다]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전기전자] 2Q25E Pre: 실적 기반 선별 전략이 중요한 시점
- 지난 6월 한 달간 국내 전기전자 주요 종목들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
- 향후 주가 흐름은 2Q25E를 기점으로 실질적인 펀더멘탈 회복 여부에 따라 갈릴 가능성이 높음
- 래거시 제품들에 대한 전방 수요를 낙관하기 어렵다는 점은 중장기적 실적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
- 단기 실적 모멘텀과 함께 중장기 구조적 경쟁력 확보 여부가 주가 흐름을 좌우할 핵심 변수
- 비래거시 중심 제품 믹스 고도화를 증명한 업체들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주가 움직임 예상
- 2Q25E 실적발표에서 대형주인 LG전자(TP 100,000원), 삼성전기(TP 190,000원) , LG이노텍(TP 200,000원)은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할 것으로 전망
- 대형주 가운데서는 전장 MLCC, 서버용 FCBGA 등 고부가 라인업을 확충하고 있는 삼성전기가 상대적 투자 매력 우위
- 중소형주 가운데서는 이수페타시스, 티엘비에 대한 우선적인 투자 접근 권고
- 이수페타시스(TP 60,000원)는 전분기와 유사한 영업이익 478억원 전망, 1) 계속되는 고객사 주문과 2) 10월부터 예정된 증설물량 고려했을 때 여전히 업종 내 투자 매력도 높음
- 티엘비(TP 28,000원)는 2Q25E 호실적 가시성이 가장 높은 업체 중 하나. 차분기 실적에 연동되는 수주잔고가 3월 말 기준 362억원을 기록했기 때문. SOCAMM, LPCAMM 등 신제품도 지속적인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음
- 해성디에스(TP 35,000원)는 DDR4+DDR5+리드프레임의 고른 실적 성장이 기대되므로 관심을 요함
보고서 링크: https://abit.ly/tfas91
[전기전자] 2Q25E Pre: 실적 기반 선별 전략이 중요한 시점
- 지난 6월 한 달간 국내 전기전자 주요 종목들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
- 향후 주가 흐름은 2Q25E를 기점으로 실질적인 펀더멘탈 회복 여부에 따라 갈릴 가능성이 높음
- 래거시 제품들에 대한 전방 수요를 낙관하기 어렵다는 점은 중장기적 실적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
- 단기 실적 모멘텀과 함께 중장기 구조적 경쟁력 확보 여부가 주가 흐름을 좌우할 핵심 변수
- 비래거시 중심 제품 믹스 고도화를 증명한 업체들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주가 움직임 예상
- 2Q25E 실적발표에서 대형주인 LG전자(TP 100,000원), 삼성전기(TP 190,000원) , LG이노텍(TP 200,000원)은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할 것으로 전망
- 대형주 가운데서는 전장 MLCC, 서버용 FCBGA 등 고부가 라인업을 확충하고 있는 삼성전기가 상대적 투자 매력 우위
- 중소형주 가운데서는 이수페타시스, 티엘비에 대한 우선적인 투자 접근 권고
- 이수페타시스(TP 60,000원)는 전분기와 유사한 영업이익 478억원 전망, 1) 계속되는 고객사 주문과 2) 10월부터 예정된 증설물량 고려했을 때 여전히 업종 내 투자 매력도 높음
- 티엘비(TP 28,000원)는 2Q25E 호실적 가시성이 가장 높은 업체 중 하나. 차분기 실적에 연동되는 수주잔고가 3월 말 기준 362억원을 기록했기 때문. SOCAMM, LPCAMM 등 신제품도 지속적인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음
- 해성디에스(TP 35,000원)는 DDR4+DDR5+리드프레임의 고른 실적 성장이 기대되므로 관심을 요함
보고서 링크: https://abit.ly/tfas91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2025년 5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데이터 공유드립니다 (CAICT)
중국 시장 휴대폰 출하량: 2,371만대 (-21.8%YoY, -5.3%MoM)
중국 시장 스마트폰 출하량: 2,252만대 (-21.2%YoY, +1.0%MoM)
중국 로컬업체 휴대폰 출하량: 1,917만대 (-24.2%YoY, -10.9%MoM), 출하 비중 81%
중국 논로컬업체 휴대폰 출하량: 453만대 (-9.7%YoY, +28.8%MoM), 출하 비중 19%
** 중국 논로컬업체(애플) 월별 스마트폰 출하량
24년 1월: 554만대
24년 2월: 241만대
24년 3월: 374만대
24년 4월: 349만대
24년 5월: 502만대
24년 6월: 286만대
24년 7월: 237만대
24년 8월: 186만대
24년 9월: 501만대
24년 10월: 621만대
24년 11월: 303만대
24년 12월: 374만대
25년 1월: 439만대
25년 2월: 263만대
25년 3월: 188만대
25년 4월: 352만대
25년 5월: 453만대
[해당 내용은 보도된 자료의 단순요약으로 당사의 조사분석자료가 아닙니다]
2025년 5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데이터 공유드립니다 (CAICT)
중국 시장 휴대폰 출하량: 2,371만대 (-21.8%YoY, -5.3%MoM)
중국 시장 스마트폰 출하량: 2,252만대 (-21.2%YoY, +1.0%MoM)
중국 로컬업체 휴대폰 출하량: 1,917만대 (-24.2%YoY, -10.9%MoM), 출하 비중 81%
중국 논로컬업체 휴대폰 출하량: 453만대 (-9.7%YoY, +28.8%MoM), 출하 비중 19%
** 중국 논로컬업체(애플) 월별 스마트폰 출하량
24년 1월: 554만대
24년 2월: 241만대
24년 3월: 374만대
24년 4월: 349만대
24년 5월: 502만대
24년 6월: 286만대
24년 7월: 237만대
24년 8월: 186만대
24년 9월: 501만대
24년 10월: 621만대
24년 11월: 303만대
24년 12월: 374만대
25년 1월: 439만대
25년 2월: 263만대
25년 3월: 188만대
25년 4월: 352만대
25년 5월: 453만대
[해당 내용은 보도된 자료의 단순요약으로 당사의 조사분석자료가 아닙니다]
[DB증권 반도체 서승연, 전기전자 조현지]
금주 및 차주 글로벌 주요 Tech 기업 2Q25 실적발표 일정 안내드립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7(월)
LG전자 잠정실적
7/8(화)
삼성전자 잠정실적
7/10(목)
16:00 Nanya
7/16(수)
22:00 ASML
7/17(목)
15:00 TSMC
16:00 Disco
7/18(금)
05:45 Netflix
16:00 Electrolux
*컨콜 및 한국 시간 기준
금주 및 차주 글로벌 주요 Tech 기업 2Q25 실적발표 일정 안내드립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7(월)
LG전자 잠정실적
7/8(화)
삼성전자 잠정실적
7/10(목)
16:00 Nanya
7/16(수)
22:00 ASML
7/17(목)
15:00 TSMC
16:00 Disco
7/18(금)
05:45 Netflix
16:00 Electrolux
*컨콜 및 한국 시간 기준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LG전자 2Q25 연결 기준 잠정실적 안내드립니다.
- 매출 20조 7,400억원 (컨센서스 21조 4,706억원)
- 영업이익 6,391억원 (컨센서스 8,470억원)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707800084
LG전자 2Q25 연결 기준 잠정실적 안내드립니다.
- 매출 20조 7,400억원 (컨센서스 21조 4,706억원)
- 영업이익 6,391억원 (컨센서스 8,470억원)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707800084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LG전자(066570): 아쉬운 글로벌 소비수요
- LG전자는 2Q25P 연결 매출액 20조 7,400억원(-4.4%YoY, -8.8%QoQ), 영업이익 6,391억원(-46.6%YoY, -49.2%QoQ)을 발표
- 매출액은 컨센서스 대비 3%, 영업이익은 컨센서스(8,470억원) 대비 25% 하회
- LG이노텍을 제외한 별도 매출액은 17조 320억원(-1.8%YoY, -4.9%QoQ), 영업이익은 6,232억원(-40.3%YoY, -45.1%QoQ)으로 추정됨
- 사업부별 추정 영업이익은 HS 4,530억원(+6%YoY, -30%QoQ, OPM 6.8%), MS -2,224억원(적전YoY, 적전QoQ, OPM -5.1%), VS 1,179억원(+44%YoY, -6%QoQ, OPM 4.1%), ES 2,649억원(+6%YoY, -35%QoQ, OPM 9.8%)
- 주요 가전(냉장고, 세탁기, TV 등)에 대한 소비 심리 회복세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더딘 가운데 영업환경 차원의 비용 부담 심화되었을 것으로 파악됨
- 종전 추정치 및 시장기대 대비 실적이 가장 저조했을 것으로 보이는 사업부는 MS
- 부진한 수요의 영향으로 TV 판매대수 자체가 감소하고, 이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와 판가 약세, 마케팅비 투입 증가가 맞물렸을 것으로 보임
- 사업부별 세부 실적은 7/25 컨퍼런스 콜 통해 발표 예정
- HS와 ES사업부는 B2B 중심의 질적 성장으로 어려운 업황에도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있음
- 다만 3Q25E부터 관세 부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은 하반기 수익구조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임
- 다만 12M Fwd P/B 0.62x로 코로나19 극심했던 2020년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된다는 점에서 투자의견 BUY 유지
보고서 링크: https://abit.ly/ogsmo6
LG전자(066570): 아쉬운 글로벌 소비수요
- LG전자는 2Q25P 연결 매출액 20조 7,400억원(-4.4%YoY, -8.8%QoQ), 영업이익 6,391억원(-46.6%YoY, -49.2%QoQ)을 발표
- 매출액은 컨센서스 대비 3%, 영업이익은 컨센서스(8,470억원) 대비 25% 하회
- LG이노텍을 제외한 별도 매출액은 17조 320억원(-1.8%YoY, -4.9%QoQ), 영업이익은 6,232억원(-40.3%YoY, -45.1%QoQ)으로 추정됨
- 사업부별 추정 영업이익은 HS 4,530억원(+6%YoY, -30%QoQ, OPM 6.8%), MS -2,224억원(적전YoY, 적전QoQ, OPM -5.1%), VS 1,179억원(+44%YoY, -6%QoQ, OPM 4.1%), ES 2,649억원(+6%YoY, -35%QoQ, OPM 9.8%)
- 주요 가전(냉장고, 세탁기, TV 등)에 대한 소비 심리 회복세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더딘 가운데 영업환경 차원의 비용 부담 심화되었을 것으로 파악됨
- 종전 추정치 및 시장기대 대비 실적이 가장 저조했을 것으로 보이는 사업부는 MS
- 부진한 수요의 영향으로 TV 판매대수 자체가 감소하고, 이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와 판가 약세, 마케팅비 투입 증가가 맞물렸을 것으로 보임
- 사업부별 세부 실적은 7/25 컨퍼런스 콜 통해 발표 예정
- HS와 ES사업부는 B2B 중심의 질적 성장으로 어려운 업황에도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있음
- 다만 3Q25E부터 관세 부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은 하반기 수익구조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임
- 다만 12M Fwd P/B 0.62x로 코로나19 극심했던 2020년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된다는 점에서 투자의견 BUY 유지
보고서 링크: https://abit.ly/ogsmo6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비에이치(090460): 아직은 동면기
- 비에이치의 2Q25E 매출액은 3,992억원(-14.8%YoY, +20.1%QoQ), 영업이익은 114억원(-63.6%YoY, 흑전QoQ)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175억원) 대비 35% 하회할 것으로 전망
- 북미 고객사향 물동량이 다소 부진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매출액과 수익성 모두 다소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됨
- 래거시모델은 연초 pull-in 수요의 영향으로 분기중 채널 재고가 다소 높았을 것으로 보임
- 비에이치의 점유율은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나 북미 고객사의 비용 절감 기조가 강해 연중 부품 단가압박 부담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 국내 고객사향 매출은 플래그십폰의 롱테일이 짧고 얇아지는 영향으로 인해 전년 대비 부진할 것으로 전망
- 현재 비에이치는 IT OLED용 HDI라인에 대한 상각비 증가한 영향으로 수익성에 부침을 겪고 있음 (연간 유형자산상각비 2021년 347억원 → 2024년 508억원)
- 이러한 상황에서 2026E부터 태블릿과 노트북의 본격적인 OLED 전환이 예상된다는 점은 긍정적
- 추가 설비투자 예상되나 양산수량 자체가 증가 전망되는 만큼 고정비 부담 감소 및 이에 따른 수익성 개선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
- 또한 3Q26E 출시 예정인 북미 고객사의 폴더블폰 FPCB 단가는 일반 모델 대비 약 3배, 플래그십 모델 대비로도 약 2.5배 이상 상승이 기대됨
- 현재의 과점적 공급구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실적에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
- 단기 실적 모멘텀은 부족하나 현재 주가는 작은 호재(고객사 판매량 반등, 폴더블 관련 뉴스 등)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만한 구간으로 판단됨
-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는 밸류에이션 매력도 두드러짐.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유지
보고서 링크: https://abit.ly/o3l9gp
비에이치(090460): 아직은 동면기
- 비에이치의 2Q25E 매출액은 3,992억원(-14.8%YoY, +20.1%QoQ), 영업이익은 114억원(-63.6%YoY, 흑전QoQ)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175억원) 대비 35% 하회할 것으로 전망
- 북미 고객사향 물동량이 다소 부진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매출액과 수익성 모두 다소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됨
- 래거시모델은 연초 pull-in 수요의 영향으로 분기중 채널 재고가 다소 높았을 것으로 보임
- 비에이치의 점유율은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나 북미 고객사의 비용 절감 기조가 강해 연중 부품 단가압박 부담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 국내 고객사향 매출은 플래그십폰의 롱테일이 짧고 얇아지는 영향으로 인해 전년 대비 부진할 것으로 전망
- 현재 비에이치는 IT OLED용 HDI라인에 대한 상각비 증가한 영향으로 수익성에 부침을 겪고 있음 (연간 유형자산상각비 2021년 347억원 → 2024년 508억원)
- 이러한 상황에서 2026E부터 태블릿과 노트북의 본격적인 OLED 전환이 예상된다는 점은 긍정적
- 추가 설비투자 예상되나 양산수량 자체가 증가 전망되는 만큼 고정비 부담 감소 및 이에 따른 수익성 개선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
- 또한 3Q26E 출시 예정인 북미 고객사의 폴더블폰 FPCB 단가는 일반 모델 대비 약 3배, 플래그십 모델 대비로도 약 2.5배 이상 상승이 기대됨
- 현재의 과점적 공급구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실적에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
- 단기 실적 모멘텀은 부족하나 현재 주가는 작은 호재(고객사 판매량 반등, 폴더블 관련 뉴스 등)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만한 구간으로 판단됨
-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는 밸류에이션 매력도 두드러짐.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유지
보고서 링크: https://abit.ly/o3l9gp
[DB증권 반도체 서승연]
삼성전자(005930): 밸류에이션 매력에 주목
■ 2Q25 잠정 Review – 시장 예상을 능가한 반도체 실적 부진
- 삼성전자의 2Q25 잠정 매출액은 74.0조원(-7% QoQ, 0% YoY)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했으나 영업이익은 4.6조원(-31% QoQ, -56% YoY)으로 최근 낮아진 시장 눈높이를 재차 하회해 분기 감익을 기록함. 사업부별 영업이익은 DS 0.4조원, SDC 0.5조원, MX/NW 3.0조원, VD/가전 0.2조원, Harman 0.4조원으로 추정됨
- 실적 부진의 주요인은 1) 개선 전 HBM 물량 관련 일회성 비용, 2) 대중 AI 반도체 제재에 따른 재고 충당, 3) 예상 보다 더딘 파운드리 가동률 개선으로 꼽을 수 있음. 메모리 위주 1.4조원 내외의 DS 일회성 비용으로 시장 예상을 능가하는 실적 부진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됨
- DRAM은 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개선 전 HBM 제품 관련 일회성 비용으로 전분기 대비 감익을 기록한 것으로 보임
- NAND는 전분기에 이어 판가 하락세 지속된 가운데 분기 적자가 지속된 것으로 추정됨
- S.LSI/파운드리는 저조한 가동률과 AI 반도체 관련 재고 충당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적자 확대됨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79,000원 유지
- 4Q25~1Q26 선제적 메모리 재고 비축 수요의 높은 기저 효과, 계절적 성수기로 메모리 판가의 단기 하락이 예상되나 2Q26부터는 계절적 성수기 도래, 타이트한 공급으로 메모리 가격 반등이 예상됨
- 현 주가는 12개월 예상 PBR 기준 0.98배, 12개월 Trailing PBR 기준 1.04배로 여전히 밸류에이션 매력도가 높음
- 다만 추세적 주가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1) 주요 GPU 고객사향 1cnm 기반 HBM 선제 공급, 2) 파운드리 대형 수주가 전제되어야 할 것임
보고서 링크: https://abit.ly/278lc6
삼성전자(005930): 밸류에이션 매력에 주목
■ 2Q25 잠정 Review – 시장 예상을 능가한 반도체 실적 부진
- 삼성전자의 2Q25 잠정 매출액은 74.0조원(-7% QoQ, 0% YoY)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했으나 영업이익은 4.6조원(-31% QoQ, -56% YoY)으로 최근 낮아진 시장 눈높이를 재차 하회해 분기 감익을 기록함. 사업부별 영업이익은 DS 0.4조원, SDC 0.5조원, MX/NW 3.0조원, VD/가전 0.2조원, Harman 0.4조원으로 추정됨
- 실적 부진의 주요인은 1) 개선 전 HBM 물량 관련 일회성 비용, 2) 대중 AI 반도체 제재에 따른 재고 충당, 3) 예상 보다 더딘 파운드리 가동률 개선으로 꼽을 수 있음. 메모리 위주 1.4조원 내외의 DS 일회성 비용으로 시장 예상을 능가하는 실적 부진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됨
- DRAM은 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개선 전 HBM 제품 관련 일회성 비용으로 전분기 대비 감익을 기록한 것으로 보임
- NAND는 전분기에 이어 판가 하락세 지속된 가운데 분기 적자가 지속된 것으로 추정됨
- S.LSI/파운드리는 저조한 가동률과 AI 반도체 관련 재고 충당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적자 확대됨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79,000원 유지
- 4Q25~1Q26 선제적 메모리 재고 비축 수요의 높은 기저 효과, 계절적 성수기로 메모리 판가의 단기 하락이 예상되나 2Q26부터는 계절적 성수기 도래, 타이트한 공급으로 메모리 가격 반등이 예상됨
- 현 주가는 12개월 예상 PBR 기준 0.98배, 12개월 Trailing PBR 기준 1.04배로 여전히 밸류에이션 매력도가 높음
- 다만 추세적 주가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1) 주요 GPU 고객사향 1cnm 기반 HBM 선제 공급, 2) 파운드리 대형 수주가 전제되어야 할 것임
보고서 링크: https://abit.ly/278lc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