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rum Research - 투자 정보 공유
2.82K subscribers
76 photos
968 links
Download Telegram
* 22년 12월 20일(화),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바이낸스US, '파산' 보이저디지털 1.3억원에 인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4069?sid=101

​1. 북미/남미/유럽 뉴스
블룸버그 조사 경제학자들 "내년 경기침체 확률 70%" → 경제학자 조사는 말 그대로 조사일뿐이고 알려진 요인으로 인한 리스크보다 시장에 알려지지 않은 리스크가 발생 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할 것 같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89732?sid=101
美 11월 주택 착공 건수 전월比 0.5% 감소…허가건수 11.2%↓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4613?sid=101
"트럼프, '반란선동' 혐의 기소해야" 美의회특위 형사처벌 권고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717888?sid=104
"전기료 3배 폭등"…'경제난' 영국 기업들 고통 호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00258?sid=101

​2. 중국/아시아 뉴스
세계은행, 中 내년·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4576?sid=101
중국도 감원 태풍 샤오미 20% 해고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63097?sid=101
별그대 이후 6년 만에…中 안후이위성TV “韓드라마 내년 방영” 예고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35791?sid=104
이창용 한은 총재 “금리인하, 물가 2% 되기 전까지는 시기상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43/0000036635?sid=101
한국에도 ‘中 비밀경찰서’ 있다?…정부, 실태 파악 나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69101?sid=104
日 통화완화 축소, 사실상 금리인상…엔 2.7% 급등 → 국채수익률 곡선통제(YCC) 정책상에서 장기(10년만기) 금리의 변동 허용폭을 기존의 ±0.25%에서 ±0.5%로 확대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29094?sid=101
우크라 경유 유럽 도달 '러 가스관' 폭발…3명 사망·1명 부상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01504?sid=104
* 22년 12월 21일(수),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세계적 암호화폐 채굴업체 코어 미국서 파산보호 신청 → 고점대비 하락률을 보시면 채굴 비지니스가 얼마나 어려운지(대출을 받아서 마이닝 기계를 샀는데 채굴을 통해 획득한 비트코인의 가치보다 대출 이자와 영업 비용이 더 들어가서 기업 운영이 어려움)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점대비 크게 떨어진 종목을 매수 후 전 고점을 회복 시 크게 이익을 얻을 수 있으나 이것은 결과론적인 이야기입니다. 현실은 주가나 코인의 가격이 많이 떨어진 경우 그만한 이유가 있으며 이런 경우 상장폐지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자자로서 내가 보유하고자 하는 1) 자산의 가격이 가치에 비해 저렴하며 2) 자산의 가격이 회복될 것이라는 근거는 투자하기 전에(매수 후 고민X) 꼭 고민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1902?sid=101
인도네시아, 올해 가상화폐 세금으로 191억 원 걷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4449?sid=104

1. 북미/남미/유럽 뉴스
마크롱, 우크라에 추가 지원 재확인…"내년에도 무기 보낼 것"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0697?sid=104
​네덜란드, 자국내 '中비밀 경찰서' 폐쇄…"中대사관도 확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5613?sid=104

2. 중국/아시아 뉴스
중국, 다음달 3일부터 해외입국자 격리 조치 없앤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35948?sid=104
푸틴 "핵전력 지속 향상시킬 것…최신 ICBM 조만간 실전 배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5226?sid=104
푸틴 "동시베리아 최대 가스전 가동 시작"…中 수출량 늘린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36256?sid=104
푸틴 최측근, 친서 들고 시진핑 찾아“평화회담 통한 문제해결 원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94286?sid=104
'日구로다 쇼크' 해외투자금 3870조원 움직이나일본의 미국 주식, 채권 보유량만 현재 1조5000억달러(약 1940조원) 이상, 네덜란드 주식, 채권에 투자한 금액은 이 국가 GDP의 9.5%에 달하고 호주(GDP 대비 8.3%), 프랑스(7.5%), 영국(4.6%), 벨기에(4.5%), 캐나다(4.1%)에도 투자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4654?sid=101
골드만 "일본은행 다음 서프라이즈는 (-) 금리 폐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2090?sid=104
11월 일본 가장 많이 방문한 외국인은 한국인…3명 중 1명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5461?sid=104

3. 중동/아프리카
아프간, 여성 대학 교육 전면 금지 → 미군의 전격 철수 때문에 탈레반의 정권 장악이 가능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바이든 대통령 역시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547595?sid=104
* 22년 12월 22일(목),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1. 북미/남미/유럽 뉴스
美 지난주 실업수당 청구 건수 21만6천건…전망치보다 적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8400?sid=104
마이크론도 내년 인력 10% 감축…경기침체에 반도체도 '칼바람' → '수요 감소→재고 증가→감산→인력 축소'의 악순환의 우려가 커집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5462?sid=101
바이든, 우크라에 "2조 군사 지원" 약속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3364?sid=104
美, 우크라 공격 이란제 드론 조사…서방부품 수출경로 파악나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5809?sid=104
​영국 3분기 GDP 0.3% 감소…"예상보다 더 위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392674?sid=101

2. 중국/아시아 뉴스
얼마나 다급했으면”…처음으로 해외 백신 반입 허용 → 줄어든 소비 살리려 소비쿠폰 발행하고 차량 5부제를 폐지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64454?sid=101
中 국무원부터 인민은행·증감회까지 내년 성장 '올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5036?sid=101
"中항모훈련, 오키나와 주변 섬 타격 연습 목적…시진핑 지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6883?sid=104
"中 전투기 39대, 대만 ADIZ 진입"…대만, 전투기 투입해 경고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5041?sid=104
中 과일 소매시장 점유율 1위... '바이궈위안' 홍콩 상장 초읽기 → 지난해 기준 중국 과일 소매시장 규모는 1조2300억위안(약 226조원)으로 연평균 7.6% 성장하고 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45937?sid=101
日언론 ", 지난달 20일 러시아에 포탄 등 군수물자 제공"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7670?sid=104
日 엔화 11월 결제비중 2.54%…2014년 8월 이후 최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4372?sid=104
日, 자국 내 中 비밀경찰서 실태조사 착수…"필요 조치 취할 것"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5048?sid=104
일본·인도 내달 첫 전투기 합동 훈련…"중국 견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8018?sid=104
젤렌스키 "평화 위해 우크라 주권·영토 양보 안 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3363?sid=104
젤렌스키, 내년 2월 EU 지도부와도 대면 회담…장소 미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06237?sid=104
* 22년 12월 23일(금),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헤지펀드 전설' 빌 밀러 "인플레·긴축 리스크 감소...비트코인 전망 양호해" →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처럼 가치저장의 수단으로 존재하지만, 다른 암호화폐는 비트코인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향후 비트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암호화폐가 예전에 벤처투자가 실패한 것처럼 빛을 보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했으며 비트코인에 투자할 경우 포트폴리오의 1%를 언급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073273?sid=101
​FTX 창업자, '재판 전 역대 최대 보석금' 3230억원 내고 풀려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06513?sid=101

1. 북미/남미/유럽 뉴스
Fed가 선호하는 근원 PCE 지수 11월 4.7%↑…상승률 둔화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91129?sid=104
미국 11월 소비자지출 0.1%증가에 그쳐…전월 0.9%에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08147?sid=104
닷컴버블 이후 … 美빅테크 '최악의 겨울' → 최근 좋은 경제 지표가 추가 긴축 신호로 해석되면서 연말 주식 시장은 기술주를 중심으로 강한 하방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64800?sid=101
안 오른 게 없다… 美 달걀 가격도 30% 급등 → AI 발병으로 5800만마리가 넘는 가금류가 폐사(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해서 알을 낳는 닭 공급량은 연초 들어 5% 넘게 줄어든 3억800만마리로 감소했습니다. 여기저기 악재이군요.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6181?sid=101
영국 기업들 "브렉시트 이후 무역 힘들다" → 영국은 주요 7개국(G7) 중 유일하게 팬데믹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07594?sid=101
G7 재무장관들 "우크라이나에 대한 재정지원 지속" → 내년 우크라이나에 대한 재정·경제지원을 위해 320억 달러(약 41조 원)를 확보했다고 합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8419?sid=104
'물가상승률 84%' 튀르키예, 내년 최저임금 55% 인상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07280?sid=101

2. 중국/아시아 뉴스
"中 이미 2.5억명 감염" 충격 문건 유출…내달 최대고비 온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37022?sid=104
"얼굴·혀 검게 변했다"…中, 코로나19 신종변이 공포 확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91128?sid=104
화이자 백신 중국 도착…베이징 등 5개 도시서 접종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0532?sid=104
日 11월 소비자물가 3.7% 상승…제2차석유위기 이후 최대폭 증가 → 일본은행이 물가안정 목표로 내세우는 2%를 8개월 연속 넘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06599?sid=101
日, 내년 방위비 역대 최대 66조원…올해比 26%↑ → 일본 정부가 방위비 지출을 늘린 것은 11년째이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1% 기준을 없애고 내년은 GDP 대비 1.19% 라고 합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08152?sid=104
​민간이 진 빚, 한국 경제 2년 번 돈으로도 못 갚는다 → 자영업자 대출 규모는 1년 전에 비해 14.3%나 증가했고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되기 직전인 2019년 4분기에 비하면 무려 48% 치솟았습니다. 저소득 자영업자와 한계 기업의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합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5812?sid=101
푸틴 "우리 목표, 전쟁 끝내는 것…빠르면 빠를 수록 좋다" → 올해 가장 말과 행동이 다른 한분입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5662?sid=104
러시아, 석유 최대 7% 감산 시사…유가상한제 때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6318?sid=104

3. 중동/아프리카
이스라엘 ‘극단적 극우 정부’ 출범… 중동 정세 불안 우려 → 역사상 가장 극우 성향이라고 합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75167?sid=104
​이란, 26살 축구선수 포함 43명 처형 임박…CNN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08020?sid=104
연말 특집 - 2020년 투자 에세이(1/3)

​​- 작성 : Aurum Research
- 지난편 : 연말특집 목표 관리하기

✍️ 최근 3년에 걸쳐 투자를 하면서 배운 경험과 교훈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팬데믹 이후 끝없이 오르는 주가를 보면서 투자 공부란걸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예/적금 밖에 모르던 시절이라 CMA 통장을 만들고 가계부를 작성하며 소비를 줄이는 것부터 시작 했습니다.

이 글을 작성하면서 2020년 투자 노트를 다시 읽어 보았는데
“Fed Official Warns of 30% Unemployment” 기사를 보면
뉴스에 자주 언급되는 제임스 블라드 미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가 2020년 3월 23일 COVID-19에 대한 휴업 등으로 실업률이 30%까지 오를 수 있다고 경고(JP Morgan 12.8%, 버냉키 30% 전망) 했습니다. 2022년 금리가 급격하게 인상될지, 고용 시장이 이렇게 강할지 정책 입안자조차 예측할 수 있었을까요?

📌 미래를 예측하는 것보다 현재가 어떤 사이클인지에 주목하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 현재의 사이클을 되돌아 보는데 도움이 되는 하워드 막스의 메모 : https://www.oaktreecapital.com/insights/memos

첫 투자공부를 하며 운이 좋았던 것은 가장 먼저 알게 된 전략이 “핫한 알트코인" 찾기가 아니라
All Weather 와 같은 자산배분 전략이었고 이러한 전략이 최고의 수익률을 내는줄 착각했습니다. 🤔

Portfolio Visualizer 에서 백테스트를 했지만 데이터의 시작 시점이 1990년도라서
1920년대부터의 자산군 데이터를 가져와서 동적/정적 자산배분전략에 대해 Backtesting 을 했습니다.
-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는 좌표와 투자정보를 모아놓은 구글 시트에 넣어 연말 선물로 드릴게요! (아직 정리중)

찾고자 하는 것은…”리스크가 적으면서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마법 같은 자산 배분의 조합은 무엇일까?
신흥국 주식의 비율을 1% 높이면 어떨까? 원자재 비율을 2% 줄여보면 어떨까? 미국 주식 비중보다 선진국 주식 비중을 높여볼까? 인플레이션 시기를 대비해서 금 비중을 5% 이상으로 해볼까?
이렇게 수동으로 비율을 조절 하며 분석하다가 자동으로 모든 비율에 대해서 Backtesting 결과를 시각화결과…
투자의 성배 따위는 없었습니다 😭

포트폴리오에서 채권 비중이 높다면 MDD 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또한 낮아지고
수익률이 너무 낮아 주식 비중을 늘린다면 CAGR 은 올라가지만 MDD 또한 높아지게 됩니다.

결국,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해서 수익을 얻을 수 있겠구나” 생각했습니다.
아래 스크린샷의 점 하나하나가 여러가지 자산군으로 이뤄진 포트폴리오이며 다른 자산군에 관계없이 주식의 비중이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늘어날수록 MDD 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억에 남는 자산군은 Timber(목재) 였습니다.
다른 자산군과 상관관계가 낮아서 MDD 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어 분산투자 대상으로 고려하였으나 주식/채권 시장같은 수익률을 내지 못해서 전체 포트폴리오 수익률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다음과 같은 자산군으로 118만번의 Backtesting 을 수행한 결과 All Weather, All Seasons, Permanent Portfolio, 6040 과 같은 포트폴리오보다 저에게 적합한 자산배분 비율을 찾았고 첫 성과가 나와서 기뻐했던 기억이 납니다. (1929년 경제 대공황 시기를 포함해서 CAGR 12% MDD -40%)
- 주식 : 미국 주식(섹터별), 미국 소형주, 선진국 주식, 신흥국 주식
- 원자재 : 금, 원자재, 목재, 부동산
- 채권 : 미국(단기/중기/장기)채권, 신흥국 채권, 물가연동채, 회사채
예금/적금만 했던 입장에서 CAGR 12% 는 높은 수익률이 었지만 금새 추가 수익률에 대한 욕심이 생겼습니다.

다음글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연말 특집 - 2020년 투자 에세이(2/3)

​​- 작성 : Aurum Research
- 지난편 : 연말 특집 - 2020 투자 에세이(1/3)

자산군의 Index 대신 개별 주식을 포함하는 전략들에 흥미가 생겼고 개별 주식을 포함해 Backtesting 을 시도해보았습니다.

Alpha Architect 에서 어떤 규칙을 기반으로 주식을 매수해야 장기간 수익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알려주는 논문들의 결과만 요약해줘서 투자 아이디어를 쉽게 얻을 수 있었으며 논문에서 주장하는 규칙을 기반으로 Backtesting 해보고 이론상의 수익률이 아니라 ETF 데이터를 가지고도 실현 가능성 수익률인지 하나하나 검증해보았습니다. 💻

어떻게 하면 돈을 버는가에 대한 논문이 수도 없이 쏟아지는 것도 놀랍지만 쉽게 요약해서 전달해주는 회사도 있는 것에 더 놀랐습니다.
의지만 있으면 양질의 투자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 Alpha Architect(https://alphaarchitect.com/blog/)

놀랍게도 CAGR 50% 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생겼고(MDD 도 같이 올라감)
각각의 주식시장별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계량적인 규칙이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문제점은 Backtesting 사이트에서 제공해주는 Finance 데이터에 의존해야하며 최소 1만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테스트를 해보고 싶은데 Backtesting 속도가 너무 느렸습니다.

그렇습니다…재무 데이터를 받아서 Backtesting 를 자동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해서 2020년 주말과 휴가를 모두 프로그램 개발을 하는데 불태웠습니다. 🔥
쉽게 말을 하는 것 같지만 1) 신뢰할 수 있고 저렴한 재무 데이터를 찾기까지 시간이 걸렸고 2) 재무 데이터를 받더라도 빈값이나 잘못 데이터가 들어가서 수정해야할 부분도 있었고 3) P/E Ratio 와 같은 가치 지표들은 스스로 만들어야 했고 4) Backtesting 을 완료했는데 Data Preprocessing 과정이 잘못되어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 적이 수도 없이 많았습니다. 😢

60개 이상의 증권 거래소가 있어 모든 시장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분석을 해보려 했으나 Backtesting 에서의 수익률과 현실에서의 수익률의 괴리가 심해질만한 국가는 제거하고 재무 데이터의 신뢰성을 고려하다보니 3개국이 남았습니다.
예를들어, 뉴질랜드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를 하려면 0.5% 이상의 거래 수수료와 오프라인으로 거래가능하므로 괴리율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미국/영국/일본의 10년치 재무 데이터를 가져와서 다양한 지표들에 대해서 분석을 해보았고 논문에서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어서 뿌듯했습니다!

기억에 남는 Backtesting 결과를 생각해보면
미국/영국의 경우 R&D 팩터의 수익률이 좋았습니다. 원인을 유추해보기 위해 각자가 다니는 회사를 생각해봅시다. 제약 등과 같이 연구가 필수인 회사를 제외하고 미래를 위해서 R&D에 투자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영업이익이 발생해서 R&D 를 할만큼 자금의 여유가 있고 경영진이 미래의 현금흐름을 위해서 현재의 현금을 투자하여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이라고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
(R&D 팩터 더 살펴보기) The R&D Premium: Is it Risk or Mispricing?
- https://alphaarchitect.com/2021/02/the-rd-premium-is-it-risk-or-mispricing/

일본의 경우 다른 국가와 다르게 시가총액이 큰 기업에 대한 Momentum 전략이 상위권에 있었는데 지난 10년간 양적완화의 결과로 BOJ 이 주식시장에서 ETF 를 매입한 것의 결과였습니다. 만약 BOJ 가 더 이상 ETF 를 매입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전략을 통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이러한 규칙으로 투자에 성공했으니 앞으로도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고 실제로 10년 이상의 데이터 결과를 보면 일본은 모멘텀 전략이 잘 작동하지 않는 국가 중 하나였습니다. 일본의 경우 여러모로 특이했던 것이 서구권에서 잘 작동했던 전략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주식 시장에 참여하기전 Backtesting 을 해보고 진입하는게 좋구나 생각했습니다. 🇯🇵
(모멘텀 팩터 더 살펴보기) Using Momentum to Find Value
- https://alphaarchitect.com/2022/05/using-momentum-to-find-value/

다음글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연말 특집 - 2020년 투자 에세이(3/3)

​​- 작성 : Aurum Research
- 지난편 : 연말 특집 - 2020 투자 에세이(2/3)

Backtesting 을 모두 마치고 알게된 사실인데 저와 비슷한 호기심을 가지고
분석결과를 공유한 블로그를 발견했는데 Sizt/Style, Sector 등 시장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나누었을때 성과를 분석한 좋은글이 많습니다.
- https://engineeredportfolio.com/

Factor 투자 방법에 대해서는 AQR 에서 훌륭한 리서치 결과를 공유하고 있으며 최근 Factor 들의 성과를 보고 싶으시면 결과만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도 있습니다.
- AQR Research : https://www.aqr.com/Insights/Research
- Fama/French Data : http://mba.tuck.dartmouth.edu/pages/faculty/ken.french/data_library.html
- AQR Data : https://www.aqr.com/Insights/Datasets/Quality-Minus-Junk-Factors-Monthly

리서치 자료를 보면 볼수록 “어떻게 해야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을까?” 에 대한 고민을 했고 🤔
Building a Better Equity Market Neutral Strategy 에서 어렴풋이 생각했던 것을 분석한 결과가 있어서 내가 고민한 것은 이미 누군가가 고민을 한 것이니 “고민할 시간에 학습을 하자!” 라고 생각했습니다.
- Building a Better Equity Market Neutral Strategy : https://images.aqr.com/-/media/AQR/Documents/Insights/White-Papers/Building-a-Better-Equity-Market-Neutral-Strategy.pdf

2020년 투자 성과(2021년 포지션 종료)
- 미국 ETF 기반의 동적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를 2개 만들어서 운영하였으며 2개 포트폴리오 모두 수익으로 마감
- 한국 주식에서 Size/Vol/Value/Quality/Momentum 에 대한 Factor 를 기반으로 투자를 하였으며 총 4개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었습니다. 각 포트폴리오에 20개~30개 사이의 주식으로 구성하였고 4개의 포트폴리오 모두 수익으로 마감
- 미국 주식에서도 Size/Vol/Value/Quality/Momentum 에 대한 Factor 를 기반으로 투자를 하였으며 2개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었으나 포트폴리오 손절 구간까지 하락해서 손실로 마감 → Backtesting 에서의 MDD 를 Real Money 로 체험하고 손절은 어렵구나 배웠습니다.

경제 전망은 늘 어둡지만 1900년부터 미국 주식시장을 보면 121개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성장해왔습니다. 우상향 하고 상관관계가 적은 자산군에(Index) 투자를 한다면 빠른 속도로 부자는 되지 않지만 돈을 잃고 싶어도 잃기 어렵겠다는 믿음이 생겼습니다.
- 120년 동안 121가지 악재 : http://apollowealth.com/wp-content/uploads/DJIA-1896-2016.jpg

👉 2022년에 되돌아본 2020년 포트폴리오
- Backtesting 을 다양하게 해서 마법 같은 팩터를 발견해 수익이 발생 시킨 것은 제 실력일까요? 시장 수익률(베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포트폴리오라서 하락장에 취약했으나 당시는 상승장이었고 시장 수익률을 제 실력으로 착각했습니다.
- 어설프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수익을 낸 것은 행운이었습니다.
- Long-Only 주식 포트폴리오라서 하락장에 취약했고, 지리적으로 덜 분산되었으며, 자산군(채권/원자재/FX/Crypto) 분산이 덜 되었으며, 중기 리밸린싱 전략이라 단기 타임프레임 전략에서 얻을 수 있는 알파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했습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ATH 대비 현재 하락률(2022년 12월 23일 종가 기준)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 https://t.me/AurumResearch

지난번 데이터 링크

BTC -75.40%
ETH -74.80%

BNB -63.00%
XRP -79.40%
ADA -91.30%
SOL -95.30%
DOGE -89.30%
DOT -91.70%
AVAX -91.40%
TRX -66.60%
SHIB -89.00%
MATIC -71.90%
LTC -82.60%
NEAR -93.30%
BCH -93.10%
UNI -88.00%
LINK -88.10%
XLM -90.00%
ALGO -92.40%
FLOW -97.10%
XMR -71.40%
ETC -88.00%
APE -84.00%
HBAR -91.70%
EGLD -93.10%
MANA -93.60%
VET -93.30%
ICP -99.10%
FIL -98.70%
XTZ -90.80%
SAND -93.70%
ZEC -89.00%
MKR -90.40%
AXS -95.50%
CAKE -92.00%
EOS -94.20%
THETA -94.50%
KLAY -94.20%

Bitcoin Mining, Chipset Company, Crypto Exchange and Same Industry

Argo Blockchain -97.40%
BITQ -89.70%(Crypto ETF)
BKCH -91.20%(Crypto ETF)
Bit Digital -97.90%
Bitfarms -95.40%
Canaan -94.30%
CleanSpark -95.10%
Coinbase -90.10%
Core Scientific -99.20%
Galaxy Digital -91.70%
Hut 8 Mining -94.60%
Iris Energy -95.20%
Marathon Digital -95.20%
Mawson -98.60%
MicroStrategy -87.20%
Riot Blockchain -95.30%
Silvergate Capital -92.60%
TeraWulf -97.90%
S&P 500 -19.80%
NASDAQ -34.60%


Korea Stocks

비덴트 -91.00%
위메이드 -85.70%
카카오 페이 -76.60%
카카오 뱅크 -72.70%

크래프톤 -69.60%
아프리카 TV -69.00%
카카오 -68.50%
컴투스 -67.30%
네이버 -60.80%
카카오 게임 -60.70%
엔씨소프트 -58.60%
하이브 -57.70%
SK 이노베이션 -49.10%
삼성전자 -36.20%
코스닥 -34.80%
코스피 -30.00%
연말 특집 - 추천하지 않는 투자 전략(돈을 잃지 않는 방법)

​​- 작성 : Aurum Research
- 지난편 : 연말 특집 - 2020 투자 에세이(3/3)

- 13F 자료를 보고 헤지펀드가 매수하는 종목을 따라서 매수하기 → 1) 13F 에 공시되지 않는 포지션이 있어서 정확히 Long 인지 헷징된 포지션인지 알 수 없으며 2) 헤지펀드가 매수한 가격에 우리는 매입할 수 없고 매도시점도 알 수 없음
- 모든 자산군을 매매할때 기술적 지표로 매매하기 → 기술적 지표가 잘 통하는 시장과 시기가 있습니다.(개인 투자자가 많은 시기) 기술적 지표를 이용하더라도 꼭 Backtesting 을 해보세요!
- 우량주만 매수하면 돈을 벌 수 있을까? → 매년 1등 주식과 시장을 주도하는 자산군은 변경됨(1980년 부터 확인해보세요!) 메타와(MDD -69%) 넷플릭스(MDD -58%)의 주가만 확인하더라도 영원히 좋은 주식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지금 1등 주식이 아니라 앞으로 1등을 할 주식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시기별 1 주식
- 시기별로 아웃퍼폼하는 자산군과 섹터는 순환합니다. 시기별 주도하는 자산군
- 금은 인플레이션을 방어해주니까 현금 대신 금을 보유하기 → 1980년~2000년 가격을 보면 금 투자자는 고통을 겪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최근 상승 동력이 좋았던 기술주만 매수하기 → 2000년도 나스닥 고점을 회복하기까지 15년이 걸렸습니다.
- 누군가(지인, 유튜버 등) 추천하는 주식 → 향후 10년동안 꾸준히 오른다고 하더라도 중간에 조정이 온다면 보유에 대한 확신이 없어 중간에 매도하고 수익을 내지 못할 확률이 높습니다.
- 은행에서 추천해주는 펀드 가입하기 → 은행에서 추천해주는 상품은 보통 고객의 주머니보다 은행의 수수료 수입을 극대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종 수수료를 제거하고 장기간 시장 벤치마크를 아웃퍼폼했는지를 체크하고 ELS/DLS 와 같은 고위험 상품이 아무 이해없이 가입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022년 마지막 Market Sentiment 요약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 https://t.me/AurumResearch
- 데이터에 대한 설명 및 그래프 : https://blog.naver.com/aurumresearch/222965095681
- 지난주 데이터 링크

[Crypto]
- Binance 거래량 : 고점대비 -92% 하락(거래량 감소 추세이지만 횡보하진 않음. 매집이 아닌 털어내는 구간이라고 판단됨)
- Upbit 거래량 : 고점대비 : -98% 하락(거래량 감소 추세이지만 횡보하진 않음. 매집이 아닌 털어내는 구간이라고 판단됨)
- Binance Future Volume / Spot Volume : 현물거래 대비 선물거래량이 줄어들고 있음(BTC 의 경우 2020년 상반기 비율과 비슷한 4이하의 비율로 진입. ETH 의 경우 ETH 2.0 이벤트 이후 비율이 감소하는 중이지만 여전히 8 이상임)
- Volatility : 대부분 자산군의 변동성이 감소하는 중이며 유동성과 시장의 관심이 사라지며 BTC의 변동성이 앞으로 2개월 정도 횡보하거나 감소할 것으로 보임(2019년 상반기와 유사)
변동성이 최근 5년동안과 비교해 보아도 낮은 수준으로 내려옴(하지만 거래량은 여전히 높아서 매수하기에 리스크가 있다고 판단함)
- Correlation(Stock, Bond, Commodity, FX, Real Estate) : FTX 이벤트 이후 NASDAQ 과 상관관계가 줄어들고 있으며 1) 기관 투자자가 포지션을 줄임 2) 시장 전체 레버리지 비율이 줄어든것으로 판단(일시적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계속 관찰). 달러 인덱스가 하락하면서 EUR, KRW, JPY 와 BTC 사이의 상관관계 증가.
- Correlation(Crypto) : 상관관계가 높게 유지되고 있음
- 통화 프리미엄
- Positive : UAH(9.1%), TRY(1.98%), RUB(1.38%), KRW(1.04%), BRL(0.32%),
- Negative : AUD(-0.5%), GBP(-0.17%), EUR(-0.12%), USD(-0.01%)
- 선물 프리미엄
- Contango : Binance Future/Spot(0.26%)
- ATH 대비 하락률 : MicroStrategy 를 제외하고 Crypto 관련 기업 주가는 고점대비 -90%를 넘게 하락
- 업계 해고 현황 : Binance, OKX 긍정적임
- BTC 활성주소 : 감소하는 추세
- BTC 평균 트랜잭션 수수료 : 2019년도 최저가에 비해 4.3배
- ​BTC MVRV 비율 : 0.84
- BTC 미실현 순수익 (NUPL) : -0.18
- BTC 장기 보유자 SOPR : 0.56
- BTC 채굴자 보유 공급량 비율 - 전체 채굴자 : 9.5%
- DeFi Value Locked : 감소하는 추세
- Social - Google : 감소하는 추세
- Social - Twitter/Youtube/App : 감소하는 추세

- Social Stats Analysis
- 분석기간 : 2022년 11월 1일 ~ 30일
- Github Commit : 180개 프로젝트 중에 23개의(13%) 프로젝트는 1% 이상 Commit 을 하였음
- Reddit Members : 464개 프로젝트 중에 79개의(17%) 프로젝트는 1% 이상 Members 수 성장률을 보였음
- Twitter Followers : 828개 프로젝트 중에 218개의(26%) 프로젝트는 1% 이상 Followers 수 성장률을 보였음
- 모두 성장한 프로젝트는 21개임
→ 10월에 비해 11월 개발활동도 저조하고 커뮤니티 성장률도 저조합니다.


[Stock]
- S&P 500 지수를 기반으로 한 Market Timing : Risk Off(위험자산 비중 축소)
- 섹터별 한 달간 수익률 : 모든 섹터에 걸쳐 조정이 발생했으나 경기 방어주라고 할 수 있는 필수 소비재, 헬스, 유틸리티 섹터가 선방
- 국가별 한 달간 수익률 : 터키(최근 저점대비 2배 상승), 중국의 상승 이외의 큰 움직임은 없었습니다. (KOSDAQ 하락)
- KOSPI PBR 0.87(저평가 국면 : 0.8)

[Bond]
- 한 달간 수익률 : 이머징 채권 상승 이외 큰 움직임은 없었습니다.

[Commodity]
- 한 달간 수익률 : 금/은과 같은 귀금속 소폭 상승

[Marco]
- Global Inflation(GDP 순위 23개국 가중평균) : 7.294%(지난주 비해 증가)
- G20 중에 Inflation 이 5% 이하인 국가 : China(1.6%), Switzerland(2.9%), Saudi Arabia(3.0%), Japan(3.8%), South Korea(5%)
- Global 10 Y - 2Y : 0.081%(지난주 비해 증가)
- G20 중에 Yield Curve 가(10Y - 2Y) 역전된 국가 : Canada(-0.73%), United States(-0.58%), Brazil(-0.37%), Germany(-0.22%), South Korea(-0.19%), United Kingdom(-0.01%)
- GDP 대비 외환보유고 Switzerland 감소
-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Canada 감소
→ 인플레이션은 소폭 상승하고 일드 커브는 지난주에 비해 안정화됨
크립토 업계 고용지표 (신규로 추가된 것은 굵은글씨 표기)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Positive]
- Binance : 2000여명 추가 채용 예정.. 자금 상태 매우 양호
- Binance US : 직원은 400명 정도이며 올해 2배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은행에 2억 5000만 달러 이상 보유)
- OKX "1년 내 직원 30% 늘릴 계획"
- 비트파이넥스·테더 : "인력 감축 계획없다...추가 채용할 것"
- 스페인 거래소 비트투미 "향후 12개월, 직원 수 두배로 늘린다

​[Negative]
- 크립토닷컴, 1년간 직원 2000명 해고... 전직원 40%
- 크립토 닷컴의 NFT 플랫폼 사업을 이끌었던 조 코이너스(Joe Conyers III) 총괄 부사장 퇴사
- 인도 와지르엑스, 직원 40% 정리해고
- BANXA : 40% 인원 감원 계획
- 크라켄, 인력 30% 감축 결정...크립토 윈터 영향
- 발키리 인베스트먼트(암호화폐 전문 자산운용사), 직원 30% 해고
- Huobi : 직원 30% 이상 감원 계획
- Bybit : 20~30% 정리해고 계획(1차), 30% 인원감축 계획(2차)
- BitMex : 직원 30% 정리해고(75명)
- Dapper Labs : 플로우 개발사 대퍼랩스가 직원 613명 중 134명(22%)을 정리해고
- BlockFi: 20% 정리해고 계획
- 앰버그룹 계열사 앰버핀(디지털 자산 플랫폼 계열사), 직원 20% 정리해고
- Coinbase: 18% 정리해고 계획
- 코인베이스의 직원은 6200명에 이른다. 올해에만 고용된 직원이 1200명이며 이번 해고 사태 후 직원 규모는 5000명 정도가 될 전망이다. 경쟁사인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직원이 300명 정도다.
- 코인베이스 위험 전략 책임자였던 Anthony DeMartino가 싱가포르 소재 암호화폐 투자 플랫폼 매트릭스 포트(Matrixport)로 이직
- Coinbase가 60명 이상의 채용 온보딩 직원 해고
- Bitpanda : 수백 명 정리해고 완료
- Bitso : 10% 정리해고 계획
- Gemini : 10% 정리해고 계획
- 그레이스케일 모기업 DCG, 구조조정 단행...직원 10% 해고
- Robinhood : 9% 정리해고 계획
- 이토로, 전직원의 6% 해고
- Babel Finance 고위 임원 및 직원들 이탈 러시
- 블록원 산하 불리시 거래소, 직원 약 30명 정리해고
- 바레인 소재 거래소 레인 파이낸셜, 수백명 인력 감축 예고
- 호주증권거래소, 블록체인 사업 관련 인력 200명 해고
- 캐나다 소재 비트코인 채굴업체 카테드라, 구조조정으로 비용 60% 절감
- 인도네시아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토코크립토(Tokocrypto) 바이낸스 지분 100% 취득 후 58% 인력 감축 계획
연말 특집 - 2021년 투자 에세이(1/2)

​​- 작성 : Aurum Research
- 지난편 : 연말 특집 - 2020 투자 에세이(3/3)

개인투자자 입장에서 Factor Investing 의 단점이 Short 포지션을 잡기 어려워서 리서치에서처럼 Market Neutral 전략을 만들기가 어려웠습니다. 상승장에서는 Index 보다 더 벌고 하락장에서 Index 보다 덜 하락하도록 관리는 할 수 있지만 전략 자체에 대한 분산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2020년도에 만든 전략은 3개월~6개월 사이에 리밸런싱 하는 전략들이라 일단 런칭해놓으니 시간도 많이 남았고, “단기 타임 프레임을 이용해 시스템 트레이딩 봇을 만들어볼까?” 생각이 들어서 설날을 이용해서 간단한 봇을 하나 만들었습니다. 자고 있는 동안 트레이딩 봇이 돈을 벌어 올 수 있다니! 얼마나 멋진 아이디어입니까? 🤑

“잠자는 동안에도 돈이 들어오는 방법을 찾아내지 못한다면 당신은 죽을 때까지 일을 해야만 할 것이다"
- 워렌버핏 -

데이터를 구하기 쉽고 API 매매를 하기 편하게 구성이 되어 있어 Crypto 시장에서 단기 트레이딩 전략을 연구했으며 Timeframe * 코인 종류 * 손절라인 * 익절라인 * 타임컷 * Long/Short 과같이 많은 경우의 수를 테스트해 보면서 과 최적화가 최소화된 전략을 만들려고 했습니다.

Crypto Backtesting 에 대해서 연구한 글
- 왜 트레이딩으로 돈을 벌기 어려운가? : https://blog.naver.com/aurumresearch/222840633303
- 리스크를 줄이는 다양한 방법 : https://blog.naver.com/aurumresearch/222844234218

간단한 돌파 전략부터 시작했는데 신기하게 자고 일어나면 수익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4월초 금액을 늘리기 시작했고 더 높은 수익을 얻고 싶어 전략에 투입되는 파라미터를 이리저리 바꾸기 시작했는데(손/익절라인, 매수 시점 등) 금세 손실구간으로 넘어가서 😭 다시 보수적으로 파라미터를 설정하였습니다. (투자 원칙을 지키지 않은 초심자 행운의 종말)

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손절을 하게 두어야 하는데 손절 라인을 이러 저리 변경하다가 손실을 보았고 꿈을 꾸게 되었습니다. 꿈에서 소시지 🌭 길이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 나왔고(내 자본금) 소시지가 줄어드는 부분을 잘랐는데…손실이 자본금을 갉아 먹으면 손절을 해야 한다는 교훈이었습니다.
제 실수를 공유드리는 이유는 이런 경험을 통해서 손실을 제한하는 원칙은 시스템 트레이딩뿐만 아니라 제 모든 투자 원칙에도 적용이 되어 큰 손실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2021년 5월은 다들 기억하시는 부처 빔이 발생했지만 작은 변동성에는 매수하지 않도록 파라미터를 보수적으로 세팅한 덕분에 5월은 수익으로 마감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4월처럼 더 많은 수익을 상상하며 공격적으로 파라미터를 세팅했다면 큰 손실을 입었을 겁니다. 보수적으로 자금을 운용하는 게 마음이 편해서 오랫동안 투자 원칙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똑같은 전략을 Binance 와 Upbit 에서 실행했는데 가격 변동성이 달라 수익은 바이낸스에서 오히려 더 잘 나와서 거래소에도 분산을 할 필요가 있구나 생각했고 2020년 하반기부터 시작한 한국/미국 주식시장 Factor 투자 포트폴리오와 Crypto 시장에서의 Trading 전략은 전략별로 상관관계가 낮아서 Crypto Trading 에서 손실을 본 경우는 한국 주식 포트폴리오에서 수익을 얻는 등 전체 포트폴리오 리스크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시스템 트레이딩의 장점은 무엇보다 매매 원칙이 코드에 있어서 냉정하게 매매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사람이 트레이딩 하면 손절 라인에서 망설여질 수 있지만, 코드는 손절 가격이 오면 망설임 없이 정리하니까요.

트레이딩 전략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던 자료와 팁들을 공유해 봅니다

Books 📚
- 주식투자 절대지식(모든 시장의 모든 투자자를 위한 성공원칙) : 매매전략을 만드는 것부터 자금관리심리적인 문제를 다스리는 것까지 트레이딩을 하시는 분이라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 잭 슈웨거의 시장의 마법사 시리즈는 꼭 모두 읽어보세요. 여러 번 읽을수록 그 진가가 드러납니다.
- 시장을 풀어낸 수학자(짐 사이먼스가 일으킨 퀀트 혁명의 역사) : 직접적인 매매 전략이 언급되지는 않지만 데이터 수집부터 매매까지 시스템 설계에 대한 방향성에 대해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Blogs
- systrader79 님 자료 : 트레이딩, 자산배분에 관한 다양한 국내외 자료를 소개해주십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wPR2CCImrk6Qb8jwlGy2_RfDJu5PwY18POrJ3UR1sts/edit#gid=0
- Quantified Strategies : Stock, Bond, FX 등에서 통하는 전략을 소개해주고 Crypto 시장에 대입해볼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https://www.quantifiedstrategies.com/
- 퀀트 투자를 할 때 주의점 : https://www.youtube.com/watch?v=BFkPzl1uziE

트레이딩 봇 개발 순서 🤖
데이터 가져오기 → 다양한 전략으로 Backtesting 하기(Long/Short, 추세/역추세 등) → Backtesting 결과를 DB 에 저장하기 → 전략별로 과 최적화 요소를 제거하기(데이터 시각화가 도움이 됨) → Backtesting 에서 마음에 드는 파라미터 조합을 입력하면 거래소에서 자본을 운용할 수 있도록 거래소 API 랑 연동 하기 → 운용 결과에 대해 Google Sheet/Slack 등에 연동하기 → 계속 발생하는 버그 수정하기 → 각 거래소의 Asset 을 Google Sheet 에 연동해서 일별 손익 관리하기

트레이딩 봇 개발 팁
- 다양한 시계열(1H ~ 24H) 테스트해 보기
- 자금 관리 규칙과 레버리지를 포함해서 Backtesting 해보기
- Forward Analysis 등을 통해 과 최적화를 방지하기
- 주식 시장에서 작동하는 전략이 Crypto 시장에도 통하는지 검증해 보기
- 전략을 런칭하기 전에 기존 전략과 상관관계가 낮은지 검증해 보기

쉽게 작성한 것 같지만 한 단계 한 단계 넘어갈 때마다 수익이 나는 전략을 찾기 힘들뿐더러 취미로 개발을 하는 입장이라 프로그램에 버그도 많았고 이렇게 까지 해야 하나? 생각도 했습니다.
끝까지 개발할 수 있었던 동력은…꾸준히 돈이 벌렸기 때문입니다.
만약 하락장이었다면 성과를 내기가 쉽지 않아서 중간에 포기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억에 남는 Crypto Backtesting 결과를 생각해보면
- Short 으로 수익을 내는 전략을 찾기가 쉽지가 않았고 Backtesting 보다 코인의 Fundamental 을 분석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되었습니다
- 코인의 종류에 관계없이 추세 전략의 성과가 역 추세 전략보다 좋았습니다
- 레버리지를(욕심) 과도하게 높이면 장기적으로 수익을 내는 시스템도 망가질 수 있었습니다
- 이름만 다른 김치 코인일 뿐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사실상 매매 세력이 같은 코인이 많은 것을 확인했습니다

다음글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연말 특집 - 2021년 투자 에세이(2/2)

​​- 작성 : Aurum Research
- 지난편 : 연말 특집 - 2021 투자 에세이(1/2)

기억에 남는 ETF(미국 상장 약 2800개 ETF) Backtesting 결과를 생각해 보면
87만개 Backtesting 결과중 CAGR 20%, MDD -30% 이하는 0.95% 였는데 수익성이 높으면서 리스크가 적은 전략을 찾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레버리지도 아니면서 지나치게 높은 수익률이 나왔던 ETF 가 있습니다!
우리 모두에게 친숙한 돈나무 누나의 ARKW(ARK Next Generation Internet ETF) 입니다.
Backtesting 에서 사용했던 파라미터를 계속 사용하면 이렇게 높은 수익률이 나올까요?
높은 수익률의 본질은 ARKW 에 편입된 종목들에 큰 추세가 발생했다는 것이지 제가 선택한 트레이딩 규칙에 무슨 마법이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Backtesting 결과 높은 수익률을 주었던 ETF 들을 보면 대부분 양적완화와 금리인하의 결과들이라고 생각했고 가까운 미래에 반복되기 어렵다고 판단해서 실전에는 투입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때만 해도 2022년에 이렇게 하락장이 펼쳐질 줄은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아직도 왜 이런 선택을 했는지 모르겠는데 무지성으로 오르는 코인들을 보면서
왠지 내가 고르는 코인도 무지성으로 오를 것 같은 그 느낌 다들 아시죠? 농부 매매법이라고 하는… 👨‍🌾
ETC, VET 를 무지성으로 매수해서 ETC 는 조금 수익을 보고 팔았지만(팔고 난 뒤 몇 배는 더 오르더라는) VET 는 결국 손절을 했던 아픈 기억들도 있습니다. 😭

2021년 7월 아마존 빔으로 급격하게 BTC 가 상승하던 새벽을 기억하시나요?
Backtesting 결과에서는 Holding 하는 것이 매매 규칙이었지만 주머니에 들어온 큰 이익이 사라지도록 내버려 둘 수 없어서 매매 규칙을 어기고 익절을 하였습니다. 매매 규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언제 규칙을 깨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본 계기가 되었습니다.

11월 이후부터는 제가 운용하는 메인 전략뿐만 아니라 대체 전략으로 만들어 놓은 전략까지 손실을 보기 시작했고 리스크 관리 규칙에 따라서 포지션 크기를 줄여나갔습니다. 리스크 관리 원칙이 없었으면 올해 발생한 수익을 반납했을 것 같고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달았고 몇 개를 공유드립니다.

개별 전략에 사용한 자금 관리 규칙
- MDD 가 5% 발생하면 매매 사이즈를 반으로 줄이자
- MDD 가 8% 발생하면 매매 사이즈를 반으로 줄이자
- MDD 가 15% 발생하면 매매를 중단하고 전략이 회복기간 동안 기다리거나 새로운 전략을 개발하자

전체 자금 관리 규칙
- 하루에 총 자본의 0.5% 이상은 잃지 않도록 관리하자
- 한달에 총 자본의 1.5% 자본 손실이 발생하면 매매 사이즈를 줄이자
- 한달에 총 자본의 3% 이상은 잃지 않도록 관리하자
- System Trailing Stop : 고점대비 10% 손실이 발생한 경우

2021년 투자 성과
- Crypto 시장에서 뇌동매매의 손실이 있었지만 트레이딩 봇이 열일해서 수익으로 마감하였으나 시스템 트레이딩은 자동으로 돈을 벌어주는 마법 같은 시스템이라는 환상에서 벗어나게 되었습니다. 매수/매도만 자동이고 전략개발/리스크 관리까지 엄청난 학습이 필요했습니다. 코딩 실력이 많이 늘었던 한 해였습니다.
- 높은 수익을 주는 최고의 전략보다는 간단한 매매 규칙으로 이뤄진 Robust 한 전략 여러 개가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 어느 자산 군에서 잘 통하는 매매 전략의 성배는 없지만 1) 시장별로 수익성 있는 매매 전략을 만드는 방법 2) 매매 전략에 대해 리스크를 관리하는 좋은 방법은 있으므로 누구든 적절하게 훈련하면 트레이딩으로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 2022년에 되돌아본 2021년 포트폴리오
- 수익성 있는 트레이딩 전략을 발견해서 돈을 번 것이 아니라 Crypto 상승장 덕분에 돈을 벌 수 있었던 것이고 리스크 관리 규칙 덕분에 돈을 지킬 수 있었습니다. 랠리가 펼쳐지는 동안은 제 실력으로 착각했습니다. 2021년 돈을 벌어다 주던 전략들은 2022년에 누적 손실이 발생해서 사이즈를 감소시키다가 현재는 전략을 중지시켜놓은 상태입니다.
- 미래에 패턴이 반복되지 않는 다면 수익을 발생시키기 어려우므로 시스템을(원칙) 따르되 구조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는지 늘 살펴봐야 합니다.

📌 리스크를 관리하는 한가지 이유?
1년 뒤에 여러분은 얼마나 발전해 있을까요? 작은 사이즈로 매매해서 파산하지만 않고 살아 남는다면 1년 뒤에 여러분은 분명히 성장하셨을거예요! 성장해서 투자에 꽃을 피우기 전에 시드 머니를 잃어버릴 수는 없죠. 수익은 예측 할 수 없지만, 손실은 내가 제어할 수 있으므로 관리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22년 12월 26일(월),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1. 북미/남미/유럽 뉴스
美 “주한미군 규모 유지… 대만에 무기 지원” → NDAA에는 내년부터 중국의 대만 침공 준비가 완료될 것으로 추정되는 2027년까지 5년간 매년 20억 달러씩 총 100억 달러를 융자 형식으로 대만에 제공해 미국 무기 구입을 지원하도록 하는 내용도 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70080?sid=104
"美 주택 시장 침체, 인플레 억제에 도움" WSJ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10323?sid=104
美 스팩 열풍, 증시와 함께 침묵...무더기 청산 이어져 → 므두셀라 어드바이저의 존 차차스 공동 대표는 “사람들이 부를 얻는 환상적인 수단으로 여겼던 스팩이 이제는 독이 든 성배가 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47076?sid=101
'투자 귀재' 하워드 막스 "주식으로 수익내기 어려워져" → 경기침체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연준이 당분간 미국의 기준금리를 낮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론적으로 경기침체가 발생하면 추가적인 피해를 막기 위해 금리인하에 나서야 하지만 연준이 저금리 시대로 돌아갈 마음이 없어 보인다"면서 "향후 몇 년 동안은 기준금리가 2.00%~4.00% 사이로 유지될 것"이라 면서 안전 자산의 시대가 올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073608?sid=101
겨울 폭풍' 덮친 美…천연가스 생산 급감 → 지난주 동시간대 가격은 ㎿h당 30달러였는데 24일 전력 현물가(비상 시 타 업체나 지역으로부터의 전력 구매가)는 상한가인 ㎿h(메가와트시)당 2000달러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37748?sid=104
​유럽 전기차 시장에 먹구름…"주유보다 비싸진 충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2917?sid=104
"브렉시트, 영국 무역 타격·인플레 심화…근로자·기업 피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2915?sid=104

​2. 중국/아시아 뉴스
시진핑 "새로운 상황, 생명 보호해야"…제로 코로나 폐기 이후 첫 공개발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41354?sid=104
中 20일새 인구 18% 2억4800만명 코로나 감염” → 中당국 공식발표 6만명의 4000배입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70063?sid=104
베이징 해외입국자 시설격리 2일로 단축…내달 3일부터 전면 개방할 듯 → 3년만에 중국 해외 입국자 시설 격리가 사라지겠군요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92182?sid=104
중국, 대만 주변서 '군용기 71대' 무력시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15009?sid=104
日캐논, 고물가에 내년 전직원 기본급 인상…20년만에 처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394472?sid=101
​벨라루스 "러에서 받은 핵미사일 준비 완료"…우크라 사정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48856?sid=104
대만군, 의무 복무기간 2024년부터 4개월→1년 연장 방침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11343?sid=104
* 22년 12월 27일(화),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1. 북미/남미/유럽 뉴스
ECB 핵심 간부 "금리인상 사이클 이제 겨우 절반 지났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42409?sid=104
美 극단주의자들 전력망 공격, 10년새 ‘최다’…작년보다 70% 늘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70480?sid=104
영국 “중국 대만 침공시 반도체 등 공급망 마비될 것” → 영국의 대중국 수입액은 636억 파운드(97조 원)로 전체의 13.3%에 달하고 대만은 세계 반도체의 65%, 고성능 반도체의 약 90%를 생산합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7662?sid=104
​독일,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47%…“2030년까지 80% 목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95450?sid=104
​“코로나 대유행 끝났다”…세계 방역전문가들 잇따라 ‘풍토병’ 선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66441?sid=104
세르비아, 군경에 최고 경계령…발칸반도 긴장감 고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21048?sid=104

2. 중국/아시아 뉴스
막 내린 中 '제로코로나'…국제유가·아시아증시 상승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073904?sid=101
봉쇄에 멍든 中 제조업…11월 누적 공업이익 전년대비 -3.6% → 코로나19 감염이 확산하면서 단기적으로 기업 이익 회복을 제한하고 제조업 전반에 미치는 압력이 여전히 큽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833356?sid=101
中, 외국인 비자발급 전면 개방 의사 밝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12497?sid=104
​일본 11월 실업률 2.5%…구직자 100명당 135개 일자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394793?sid=101
일본, 우크라 사태에 식량 수입의존 탈피…밀·콩 국내 생산확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5535?sid=104
일본, 30일부터 중국발 입국자 전원 코로나19 검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6749?sid=104

3. 중동/아프리카
日 오만과 장기계약으로(200만 톤 규모) LNG 수입 경로 다각화 → 현재 일본은 전체 LNG 수입량의 2.6%(190만 톤)를 오만에서 들여오고 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41900?sid=104
튀르키예, 내년부터 천연가스 생산국 된다…흑해서 생산 → 천연가스 매장량이 7천100억㎥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고 밝혔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5188?sid=104
머스크, 스타링크로 이란 히잡시위 지원…"100대 가동"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13065?sid=104
연말 특집 - 2022년 투자 에세이(1/2)

​​- 작성 : Aurum Research
- 지난편 : 연말 특집 - 2021 투자 에세이(2/2)

2021년에 시스템 트레이딩에 집중하다 보니 2022년에는 어떤 원리로 경제가 돌아가는지에 대해서 호기심이 생겼습니다.
짧게 역사를 되짚어 보면 1970년대에는 원자재와 신흥국 주식이 1980년대에는 선진국 주식이 1990년대 미국 주식이 2000년대에는 신흥국 주식이 2010년대에는 미국 주식이 주도하는 장세였습니다.

최근에 투자를 시작한 투자자는(저 포함) 2010년대 주식시장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과거부터 생존했던 투자자의 지혜를 얻고자 짐 로저스의 책을 읽었는데 주식 시장 원자재 시장의 사이클에 관한 내용이었습니다.

원자재 가격 폭등 →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원재료 가격이 올라가니 기업 영업 이익이 악화되어 기업의 주가 하락(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커피 생두 가격이 두 배가 되면 스타벅스는 커피 가격을 두 배 올릴 수 있을까?) → 원자재 수요가 부족해져서 원자재 채굴 기업이 증가하지만 안정적으로 원자재를 발굴하기까지 수년 정도 걸림(원자재 상승 사이클이 오래 지속되는 이유) → 원자재 생산 기업이 증가하여 공급이 충분하게 많아지면 원자재 가격이 안정되어 기업의 영업이익이 좋아지고 주가의 긍정적인 영향 → 원자재 생산 기업의 공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파산하는 원자재 기업이 발생하고 작은 수요로도 원자재 가격이 폭등

원자재 투자라 함은 어려운 단어 같지만 매일 마시는 커피, 콩, 우유, 기름 등과 같은 원자재는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원자재와 BRICS 국가들에 대해 리서치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국내 서점에 원자재에 대해 검색해 보시면 책이 몇 권 있지도 않습니다. 몇 권 안되는 책을 사서 공부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원자재가 폭등하더군요. 매수 타이밍을 놓쳤다고 생각하고 BRICS 국가들에 대해서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러시아부터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국가의 부채 규모 축소, 외환보유고를 늘리고 서방과 다르게 긴축 재정을 하면서 달러 의존도를 줄이고 있습니다. (전쟁 시작 전) 🇷🇺
인터뷰 내용 중에 푸틴 대통령은 "가장 중요한 것은 돈을 인쇄하는 것이 아닌 러시아의 경제적 구조를 바꾸는 것"이라며 "투자 자금을 유치해 우리 경제를 더욱 효율적으로 바꾸고 수요를 창출해 국민의 수익성을 개선하는 것이 주요 안건"이라고 말했는데 너무 순진하게 인터뷰들을 바라보았던 것 같습니다.
서방 의존도를 줄이면서 재정을 건전하게 하는 것이 전쟁의 서막이라는 것을 상상도 못했습니다. 결국…분할매수 중에 러시아 ETF는 정지되었습니다. 🤬

중국/터키 둘 중에 어디를 투자할까 고민을 하다가 중국을 선택한 이유는 제로 코로나 정책이 영원하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했고 중국의 공장을 이전하더라도 시간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터키의 경우 저평가 상태인 것 같지만 조사를 충분히 하지 않아서 회복에 대한 확신이 부족해서 매수하지 않았습니다. 🇹🇷🇨🇳
- 연초 대비 터키의 주가는 2배 정도 올랐지만 😳 2021년 농부 매매를 👨‍🌾 하다가 손실을 본 경험이 있어서 리서치를 하지 않고는 더 이상 매수하지 않기로 마음을 먹어서 FOMO에 휩쓸리지는 않았습니다.

중국 특유의 디스카운트를 고려하더라도 Valuation 관점에서 매력적이었고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폭이 미국에 비해서 여유가 있기도 했습니다. 특히 빅테크 기업 때리기를 통해 IT 기업의 주가가 많이 하락하였는데 석기시대로 돌아갈 것도 아니고 IT 기업이 사라진다면 중국이 하고 싶은 공동부유에도 차질이 생길 것이라 언젠가는 규제를 완화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중국의 경우 1년 동안 매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2번 정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ETF 형태로 매수한 이유는 개별 주식의 재무제표를 분석할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IT 섹터가 장기간 소외될 수 있어서 상관관계가 적은 섹터에 분산투자도 병행했습니다.

저가 매수를 위해서 시장을 관찰하는 것은 처음 해보았는데, 매일 트레이딩에 참가하지 않더라도 시장을 관찰해야 하는 이유는 정말 좋은 매수 기회가 눈앞에 왔을 때 놓칠 수 있기 때문이란 것과 좋은 매수 기회는 심리적으로 매수하기 어려운 위치라서 꾸준히 공부하지 않으면 확신을 가지고 매수할 수 없었습니다. 저평가 구간에서는 심리적으로 “Buy” 버튼 누르기가 망설여져서 “언젠가 시장은 회복한다는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중요했습니다.

워렌 버핏 : "지금은 투자에 나서야 할 때"(1974년 11월)
- http://m.itooza.com/view.php?ud=2010011319360263666

이 당시 S&P 500 지수는 고점 대비 -48% 하락하였는데 주식 비중이 높았다면 엄청난 타격을 받았을 테고 누군가에게는 일생일대의 기회였을 겁니다.

이러한 급락으로 타격을 입은 사람이 찰리 멍거이고 워렌 버핏이 1960년대 후반(강세장)에 미리 투자조합을 접은 것과 대조적입니다.
- https://m.itooza.com/view.php?ud=2010012517171543728

저평가 구간이라고 해서 매수하더라도 추가로 급락할 수도 있고 매도해서 이익을 내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데이터로 보는 것은 쉬웠는데 실제 돈으로 투자하면서는 “인내심" 이 많이 길러졌습니다.
칼 아이칸도 옥시덴탈을 매수해서 수익을 내기까지 3년이 걸렸는데 매수해서 바로 이익이 생기는 마음 또한 욕심이라는 것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 https://cm.asiae.co.kr/article/world-all/2022030709074869100

저가 매수의 기본은 그 자산에 가치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게 가치 있는지 확인하고 그걸 싸게 사야겠죠?
고점 대비 많이 하락했더라도 자산에 가치가 없다면 고점을 회복을 못할 수도 있습니다.

매수하기 전에 고민해 볼 만한 내용입니다.
- 해당 자산은 어떤 가치가 있으며 Bargain 에 대한 기준을 어떻게 설정하는가?
- 분할매수 시 시간을 어떻게 분할해야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인가?
- Take Profit, Stop Loss 에 대한 기준은 가격으로 할 것인가? Fundamental 로 할 것인가?
- 해당 자산은 10년 후에 어떻게 될 것 같은가?
- 어떤 상황에서 돈을 잃을 가능성이 생기는가?

시총이 큰 코인 위주로 가치에 대한 기준을 만들어보고 평가를 해본 적이 있고 일부분입니다.
- 참여자가 Fiat Currency 를 기꺼이 투자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가?
- 유통 공급량이 최대 공급량의 N%가 넘는가?
- 해당 프로토콜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30일 동안 N명이 넘는가?
- 커뮤니티에서 너무 고평가 하지 않는가?

최종 선정된 5개의 코인이 있었는데 FTT 가 있었습니다. 😭

FTT 토큰의 경우 다음 시즌에 크게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일정 비율로 매입을 하다가 -38% 정도에 손절했으며 왜 워렌 버핏이 주주총회마다 Great Management(훌륭한 경영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지가 떠올랐습니다. 외부에서 기업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은 사업보고서, 재무제표 등인데 그 기업을 운영하는 경영진의 됨됨이 또한 중요한 것을 배웠네요
이렇게 평가를 하는 기준이 올바르지 않으면 올바르지 않은 결과가 나올 수가 있습니다.

2021년 Crypto 시장에서 방향성을(Long/Short) 이용한 트레이딩 봇을 개발했기에 2022년은 차익거래를 손으로 하던 것을 자동화하는 봇을 만들었습니다.
- 현물과 현물의 스프레드 차이(서로 다른 거래소)
- 현물과 현물의 스프레드 차이(같은 거래소 내의 삼각 차익)
- 현물과 분기별 선물의 스프레드 차이
- 현물과 무기한 선물의 스프레드 차이
- 펀딩비 차익거래

방향성을 기반으로 한 트레이딩 봇은 Binance/Bybit API 로 만들어서 이번에는 유망해 보였던 FTX 거래소 API 를 이용해서 차익거래 프로그램을 개발했는데 하필 ㅂㄷㅂㄷ 😡
2023년에 코드를 Binance 버전으로 바꿀 생각을 하니 막막하군요…

다음글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연말 특집 - 2022년 투자 에세이(2/2)

​​- 작성 : Aurum Research
- 지난편 : 연말 특집 - 2022 투자 에세이(1/2)

2022년 힘들었던 이유 중 하나는 금리가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주식과 같은 위험 자산군이 하락할 때 방어를 해주던 채권도 같이 하락해서 All Weather, 60/40 과같이 자산 배분을 하는 투자자도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All Weather 의 경우 -18%까지 하락했는데 1920년대 이후로 보아도 흔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
- https://portfolioslab.com/portfolio/ray-dalio-all-weather

2021년에 수익성이 적어서 Revereral(역추세) Short 의 비중을 줄여 놓았는데 올해 같은 경우 과거에 수익이 없던 전략들에서 수익이 생겼고 Long 전략으로 돈을 잃을 때 Short 전략이 작게나마 수익을 줘서 전체 자본의 변동성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과거 데이터로 Backtesting 결과를 보면 절대 투입하면 안 될 것 같은 전략이지만 올해 시장에 변화가 있어 실전에서 수익이 생기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Short 은 단독으로만 사용하면 이익이 제한되고 손실은 무한대이지만 Long 과 비율을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 같습니다. 세상에 나쁜 전략은 없고, 사용 시기와 어떤 전략을 조합하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데 이것은 트레이더로서의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수익도 잘 안나는데 2월 트레이딩 봇이 오류가 발생해서 확인해보니 2020년 9월에 Rate Limit 관련해서 정책이 변경된다고 Binance 에서 공지가 있었더군요. 최대 60개의 포지션을 잡다가 변경된 룰에 맞춰서 동시에 잡는 포지션 개수를 줄였던 적도 있었습니다. (수익보다 유지보수 비용이 더 큰 경우) 💻

유동성이 줄어들면서 사용하던 전략들이 언더퍼폼 하는 시기에 접어 들었고 시장의 사이클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는데, “유동성 증가로 누군가 무지성 시장가 매수 → 차익거래 기회가 생기고 변동성이 증가 → 변동성을 이용한 트레이딩 전략 활성화 → 가격이 올라가는것을 보고 FOMO 를 느낀 누군가가 또 시장가 매수 → 모두가 행복 “ 이러한 사이클이었는데 유동성이 감소하니 유동성이 많은 상황에서 아웃퍼폼하는 전략들이 동작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재 사이클에 비추어 주식 시장을 생각해보면 “금리 인상 → 영업이익 축소 및 이자부담 상승 → 한계 기업 퇴출 → 우량 기업만 살아 남고 저평가 상태" 이런 상황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다음 상승장 사이클에 금리 인상&인플레이션 시기에 살아 남은 기업들의 주가가 올라갈 것이고 그 시대에 처음 투자를 한 투자자는 “살껄"을 외치겠지만…지금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미래에 이득을 보려면 어떤 기업이 저평가 기업인지 한계기업 인지를 볼줄 아는 눈을 갖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

올해 큰 악재에 대해 대응했던 것을 생각해 보면
- LUNA 의 경우 Unslashed(보험 프로토콜) 에서 Anchor + UST Peg 보험료는 1년에 8% 였습니다. 이자가 약 20% 인데 보험료가 8% 라는 것은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리스크가 높다고 판단하는 것이라 생각했고 테라 생태계에 공부하려고 $100 를 투자하였으나 → 돈 삭제 💸
- FTX 의 경우 차익거래 봇을 운용하다가 이슈가 발생해서 API로 테스트할 수 있는 최소한의 비용인 $100 만 남기고 돈을 이동했는데 → 돈 삭제 💸

예치 모델에 대해서는 1) 시중 금리보다 높은 경우 2) 타 거래소보다 지나치게 높은 경우 3) 예치의 이자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더욱 경계하게 되었습니다.
9월 5일 작성한 글인데 FTX(Blockfolio 에서 운용하지만 이름이 FTX 라서 많은 분들이 혼동) 에서는 8%($10,000 까지), Binance 에서는 2%($20,000) 를 지급했는데 상품이 좋아 보이는데 왜 좋은지 모른다면 경계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 https://blog.naver.com/aurumresearch/222867747253

👉 2022년 투자 성과
- 자산 배분을 기반으로 달러를 넣어놓은 것에서 수익이 발생했으며 위기에 약한 원화만 가지고 있기 보다 원화가 강세일 때 Currency 에 대해서 배분을 하는 게 중요합니다. 달러 익절은 1500원부터 2000원까지 계획을 세워 놓았는데 13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이 발생해서 모두 정리했고 올해 수익의 대부분의 여기서 발생했습니다. 만약 고집을 피우고 1500원부터 익절 계획을 그대로 따랐으면 이익금 대부분을 반납했을 건데, "항상 시장은 옳다" 는 생각으로 낙폭이 발생한 날에 내가 모르는 무슨 사건이 벌어지고 있다고 생각해 일단 익절하고 필요하면 다시 매수해야지 생각했습니다. 익절해서 전체 자본량이 늘어나면 위험자산에 대해 리스크 한도가 늘어나서 다른 포지션 크기를 키울 수 있겠죠?
- 35 Year Highs For The Dollar : 외국인의 관점에서 신흥국 통화를 어떻게 매수할지에 대한 글인데 KRW 만 가지고 있는 것보다 통화를 어떻게 배분할지에 대한 인사이트가 나와있습니다
https://mcusercontent.com/6750faf5c6091bc898da154ff/files/158cb98b-ce82-3a58-868e-25adf9bd3ba4/20221002.IF.2Q22QuarterlyLetter.GMO.pdf
- 원·달러 환율, 장중 50원 폭락…13년 만에 최대 낙폭 기사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111132346
- 중국 주식 저가 매수 전략에서 수익이 발생했고(러시아 주식은 거래 정지) 해외 주식은 양도 소득세를 고려해서 퇴직 연금 계좌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중국 주식의 경우 익절 기회가 중간에 여러 번 있었는데 작게 이익을 취하기 보다 포지션을 유지해서 이익을 더 키워나갈 계획입니다.
- 하워드 막스의 인터뷰 내용인데 시장 사이클이 지금 어느 지점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중국을 예시로 들었습니다. (매수 추천 아님)
- 인터뷰 내용 : 어떤 사람들은 “중국 투자는 할 수가 없다"고 말하는데 그게 오히려 저의 흥미를 끕니다. 중국 주식 가격에 대해 낙관이 없는 상태(사이클상 저점)이라는 뜻이니까요.
- https://youtu.be/u3cZl2lNUKw?t=839
- 일본이 나홀로 금리를 인상하지 않고 있어서 다른 통화에 비해 엔화는 저평가 상태라고 판단했습니다. 특정 가격시점부터 소액으로 분할매수를 했고 작은 포지션이라 금전적인 의미는 크게 없으며 새로운 투자 방법을 테스트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Crypto 시장의 경우 차익거래 봇 개발에 집중을 하였으나 유동성 감소로 차익거래의 기회가 점점 줄었고 Long/Short 방향성을 기반으로 하는 봇의 경우 손해를 볼 때마다 포지션 사이즈를 50% 씩 줄여나가다가 현재는 소액으로만 운용하고 있습니다.
- Crypto 시장에서 저가 매수(Buy the Dip), DCA 포트폴리오 두 개를 구성했습니다. 저가 매수의 경우 원하는 가격이 오지 않아서 Fiat 이 그대로 있고 DCA 의 경우 7월부터 분할로 매수를 시작했지만 생각했던 것보다 하락률이 커져서 비중을 줄였고 현재는 목표하는 수량의 약 1% 를 가지고 있으며 수익률은 진입가 대비 -16% 정도 입니다. 2023년에 거래량을 보고 DCA 는 추가로 진행 계획에 있습니다.

👉 2022년 말에 되돌아본 2022년 포트폴리오
- 2022년 초에는 Crypto 시장에서 방향성 트레이딩과 차익거래 봇 모두에서 수익을 내고 싶었지만 오히려 손해를 보았습니다. 달러와 중국 주식 덕분에 수익이 발생할 것이라고 상상도 못했습니다.
- 어느 자산 군에서 추세가 발생하는지 어느 자산 군이 사이클의 저점으로 다가가고 있는지 꾸준히 시장을 관찰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선물과 같다고 생각했고 기존에 돈을 벌었던 전략을 고집하기 보다 시장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사고하는 능력이 중요한 한 해였습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22년 12월 28일(수),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한파에 채굴기 속도도 냉각…‘겹악재’ 시달리는 코인 채굴 업계 → 세계 최대 채굴 기업 코어사이언티픽 파산 신청, 상장 채굴 업체 상위 10곳 부채만 40억 달러, 컴퓨트노스 파산 신청, 아이리스에너지 채굴장비 압류와 같은 악재 뿐만 아니라 기록적인 한파로 전기료 인상이 또 다른 난관이 되었습니다. 최신 비트코인 채굴기인 마이크로BT, 비트메인 등은 최고가 대비 70~80% 폭락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43/0000037145?sid=101

​1. 북미/남미/유럽 뉴스
빅테크 감원 바람에도…"해고자 79% 3개월 내 재취업" → 37%는 한 달 이내 일자리 찾았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14323?sid=101
"전자 제품 판매 부진에 반도체 재고 10년 만에 최고"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44930?sid=101
美 세관, 모든 입국항서 ‘北 노동력 이용한 중국산’ 압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37318?sid=104
스페인, 13조 규모 고물가 대책 발표…식료품 부가세 폐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7713?sid=101
유럽 천연가스 1㎿h당 80유로…우크라 전쟁 이전 수준까지 떨어져 → 지난 8월 대비 77% 하락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43860?sid=101
독일, 올해 무기 수출액 역대 2위 기록…"우크라 전쟁 영향"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93096?sid=104
그 나라 집값은 안녕하신가요? 고군분투 중인 전 세계 주택시장 → 한국은 하락률 기준으로 3위 이고 스웨덴은 -14%, 뉴질랜드는 -11%, 캐나다는 -7% 입니다. 캐나다는 팬데믹 기간 동안 50% 급등했으나 9개월 연속 하락중이며 변동금리 비중이 50% 이상입니다. 스웨덴의 경우 80%가 변동 금리입니다. 뉴질랜드의 경우 팬데믹 기간 동안 40% 올랐고 수도인 웰링턴 집값은 1년 전보다 17.3%나 떨어져 전 세계에서 가장 집값 하락이 큰 도시로 꼽힙니다. 집값이 급등, 변동금리 비중이 높고, 가계부채가 빠르게 급증한 나라들부터 주택시장이 침체에 빠졌습니다. 미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고신용자 대출이 70% 이상(금융위기 땐 25%) 장기 고정금리 비중이 높아져서 금리 인상에 충격은 적습니다. 집값이 덜 빠지는 곳은 일본(통화 약세, 저금리), 프랑스/이탈리아/터키(통화약세)와 같은 곳이고 고정금리로 대출을 이용한 경우 가격 변동성이 더 적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70616?sid=104

2. 중국/아시아 뉴스
中공장 다시 멈춘다..코로나 폭발에 '셀프 셧다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47930?sid=101
블룸버그 "외국자본 中대탈출…제로 코로나+부동산 침체" → 올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홍콩 주식시장을 통해 사들인 상하이와 선전 주식은 870억위안(125억달러, 약15조8000억원)다. 지난해의 1/5수준이며 2017년 이후 최저입니다. 최근 제로 코로나 정책을 사실상 페기하고 성장을 최우선으로 삼으며 낙관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44512?sid=101
"고향 안가면 보상" 中 곳곳서 춘제 귀성 자제 장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9136?sid=104
홍콩 주택가격 11월 3.3%↓...5년여 만에 최저 수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15041?sid=101
러시아, 2월부터 유가상한제 도입국에 원유 수출금지 →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제한하고, 상한액을 넘어 수출되는 러시아산 원유에 대해서는 보험, 운송 등 해상서비스를 금지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7684?sid=101
우크라전 비판하면 사라진다? 러 소시지 재벌 의문의 죽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49431?sid=104
"러시아 하루 70∼80회 포격"…헤르손서 성탄절 후 피란행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9214?sid=104
"日, 내년 4월 코로나 독감처럼 관리 검토…실내 마스크 해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7443?sid=104
* 22년 12월 29일(목),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암호화폐거래소 크라켄, 30% 감원 이어 日 시장 철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16141?sid=101

​1. 북미/남미/유럽 뉴스
글로벌 부실채무 6500억 달러…디폴트 대란 오나 → 미국의 경우 지난해 11월 기준 630억 달러였던 부실 채무 규모가 올 11월에는 2760억 달러로 4배 이상 급증했고 피치북LCD에 따르면 미국 기업의 수익 대비 부채 비율은 올 9월 기준 5.5배를 살짝 밑도는 수준으로 2006년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미국에서 실행된 레버리지론은 8340억 달러로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의 2배 규모입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39127?sid=104
"美 인플레에 저소득층 아닌 중산층 타격 가장 커" → 중산층 구매력 전년 대비 2.9% 감소했고 빈곤층·부유층은 각각 1.5%, 1.1% 증가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17671?sid=104
골드만삭스 최대 4000명 또 감원…솔로몬CEO "1월 예정" → 지난 9월 수백명 해고 이어 추가 감원이며 직원 중 8% 에 해당됩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47535?sid=101
​"횡재세 부과 부당"…美 엑손모빌, EU 제소 → 엑손모발 대변인은 투자자의 신뢰를 저해하고, 기업의 투자 의욕을 꺾는 것과 유럽에서 향후 수십억 유로의 투자를 검토하고 있었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98340?sid=101
미국은 눈폭풍인데, 영상 10도 ‘따뜻한 겨울’ 유럽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96008?sid=104
프랑스 국방, 우크라 추가 지원 약속…'패트리엇 유럽 버전' 제공 시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16498?sid=104
'중국 확진자 유입될라' 입국장벽 세우는 나라들 → 일본, 미국, 대만, 인도, 말레이시아가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46958?sid=104

​2. 중국/아시아 뉴스
전세계 탄소 감축 하면 뭐하나…中화력발전소 설립허가, 작년의 3배로 → 석탄 발전소 발전용량은 11월 말 기준 총 11억2000만킬로와트로, 이미 세계 최대 규모다이고 국가 전력의 40%가 화력발전에 나올 정도로 석탄 의존도가 높습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67264?sid=101
한한령 해제 되나?…中, 6년만에 韓 게임 7개 서비스 허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70949?sid=104
"1∼11월 세계 전기차 판매량 중국 43%로 1위" → 2위 미국차 31%, 3위 유럽차 18%, 4위 일본차 3% 입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9913?sid=104
​18세 때 총기난사로 6명 살해…러 법원, 10대 청소년에 종신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548960?sid=104
‘절대惡 사우론’ 처럼… 푸틴, 친러 국가 정상에 반지 선물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548813?sid=104
러 외무 "美 '러와 직접 전쟁 원치않아' 외교채널로 알려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9989?sid=104
우즈벡, 인도산 '죽음의 감기약' 복용 어린이 18명 사망 → 해당 시럽에서는 자동차 부동액이나 유리 세정액로 쓰이는 독성물질인 에틸렌글리콜이 검출되었다고 합니다. (의약품 제조에도 미량으로 쓰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93342?sid=104

​3. 중동/아프리카
脫석유 팔걷은 UAE … 지금 아부다비는 '스타트업 천국'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67437?sid=104
연말 특집 - 2023년 목표, 왜 독서를 해야할까?

​​- 작성 : Aurum Research
- 지난편 : 연말 특집 - 2022 투자 에세이

👉 내년에 공부하고 싶은 투자 전략
2023년은 투자 가능한 자산들에 대해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웠으면 합니다.
다양한 산업에 대해 시야를 넓히고 싶은데 개별 주식의 사업보고서를 읽는 것보다 창업자의 자서전을 읽는 것으로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신발에 관심도 없는데 NIKE 창업자의 자서전을 읽으니 신발 산업에 관심이 생기더라고요.
CEX-DEX, DEX-DEX 사이의 차익거래도 도전해 보고 싶은데 수익을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코딩을 계속 해나갈 동기부여를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매수하기 전에 꼭 생각해 보기 🤔
- “1년 뒤에 나라면 이 포지션을 잡을까?” 제3자 관점에서 보면 의외로 투자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해 볼 수 있습니다
- 이 투자에서 돈을 잃는다면 어떤 경우이고 어떻게 대응할지 매수하기 전에 고민해 보셔야 합니다

2020년도부터 시작했던 투자를 연도별로 에세이 형식으로 공유드렸습니다. ✍️

2020년도에(Factor Investing)는 데이터 기반으로 투자를 해서 결과가 좋았다고 생각했고
2021년도에(Directional Trading)는 훌륭한 트레이딩 모델을 잘 골라서 결과가 좋았다고 생각했고
2022년도에(Macro Trading)는 저평가된 자산 군을 잘 골라서 결과가 좋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냉정하게 되돌아보면 실력이 아니라 운 좋게 연도별로 상승한 자산 군에 잘 편승했을 뿐이었습니다.

앞으로 이런 행운이 지속될 것 같지는 않은데 “장기간 시장 평균 수익률을 이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를 고민했고 자연스레 버크셔 해서웨이에 주목했습니다.

2016년 5월부터 버크셔 해서웨이는 애플의 지분을 늘리기 시작했고(애플의 인기가 최근 같지 않던 시기) 몇 년이 지나 이것은 성공적인 투자가 되었음을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버핏, 애플 주식 '몰빵'하더니…72조원 '잭팟'
-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71788007

주주 총회 영상을 보면 워렌 버핏이라고 미공개 정보를 획득해서 투자 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공개된 사업보고서, 재무 제표 등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합니다.
워렌버핏과 우리는 모두 공개된 자료를 기반으로 판단을 하는데 왜 오랫동안 그는 시장을 이겨왔고 어떤 요인이 장기간 우위를 가져다주었을까요?

투자 원칙을 꾸준히 지키는 인내심과 통찰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술주에 대해서 잘 몰랐기 때문에 기술주 버블에 참여하지 않았고 80세가 넘어서 기술주 투자를 시작했고(내가 아는 것에 투자하는 투자 원칙)
버크셔 해서웨이의 후계자에 대해 언급하는 영상을 보면 독서의 중요성에 대해서 나오는데
많은 경험과 독서로부터 통찰력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

버크셔 해서웨이 후계자의 토드 콤스, 테드 웨슐러의 투자 구조와 하루 일상
- https://www.youtube.com/watch?v=LZisxGK5WiU
- 테드 웨슐러 : 제 일은 독서를 하는 것이었어요. 전 하루의 대부분을 독서에 할애합니다. 📖
- 토드 콤스 : 매일 12시간 독서하는 것이 제 일입니다. 📘
- 워렌 버핏 : 저와 찰리만큼 독서하는 사람들은 이 둘 밖에 못 찾았습니다. 📕

저 역시 투자 공부를 시작하면서 독서량을 늘리기는 했지만(2021년 54권, 2022년 34권) 주제 없이 무엇인가를 생각하면 몽상에 빠지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독서를 하게 되면 그 주제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집중을 하게 됩니다. 세상은 A → B 와 같이 단순하지 않아서 독서를 하게 되면 평소의 단편적이고 편협한 사고에서 벗어나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해 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이것이 꾸준하게 독서를 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올해 저에게 가장 큰 영감을 주신 분은 역설적이게도 Bitcoin 에 가장 부정적인 발언을 하는 찰리 멍거 입니다. 주주총회의 Q&A 를 한글로 번역해 주신 영상이 있어서 몇 번이고 다시 봤네요.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자료는 많지만 지혜와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투자자는 많지 않다고 생각해서 공유드립니다.
찰리 멍거 - 99살 투자자의 지혜. 데일리 저널 2022년 Q&A 모음
- https://www.youtube.com/watch?v=5w4-qZNH23U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